5계라 함은 다섯 가지 계율을 의미한다. 다섯 가지 계율이란 불살생(佛殺生), 불투도(不偸盜), 불사음(不邪淫), 불망어(不妄語), 불음주(不飮酒)를 현실생활에서 지키는 것을 말한다. *불살생 1. 불살생의 범위 불살생은 모든 살아 있는 생명을 죽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살아있는 생명은 모든 중생의 생명을 의미하며, 중생의 모습은 태로 태어나는 인간과 축생 일반도 포함되지만, 알의 형태로 태어나는 물고기와 새들, 습기에서 태어나는 곤충과 벌레들, 생각과 의식만으로 태어나는 정신적인 영혼들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살아 있는 것을 죽이지 않아야 한다는 불살생에 포함되는 것은 산하대지 등의 모든 자연물도 포함된다. 산과 대해, 강물, 땅 뿐만 아니라 식물, 공기 등 자연의 요소들이다. 왜냐하면 인간은 그 인간 자체로 성립되는 것은 하나도 없이 나 이외의 인간과 사회와 자연에 의해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불살생계에는 사람, 동 식물, 자연이 모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불살생계를 지키기 위해서는 그저 금기와 절제로 되는 것은 아니다. 일단 살생하는 마음을 명상적으로 비워야 하며 생활 속에서 비워낸 만큼 실천해야 한다. 2. 불살생계를 지키기 위한 방법 1) 명상적 방법 A) 불살생계를 지키기 위한 명상적은 방법은 먼저 살생했던 과거의 경험부터 찾아내서 부정관으로 없애야 한다. B) 과거의 경험도 실제로 죽였던 기억과 생각으로 죽였던 기억들을 찾아내서 부정관으로 없애고 죽인 대상에 대해 참회해야 한다. 참회하는 방법은 참회진언 즉, 옴 살바못자모지 사다야 사바하를 대상에게 해 주거나 구체적인 말로써 관상해도 된다. C) 살생의 기억을 폭넓혀 나아가야 한다. 사람에게서 동식물로 자연 우주로. D) 특히 큰 욕심은 반드시 많은 사람의 이득을 가져오고 산하대지를 오염시키고, 자연과 대기를 오염시키기 때문에 자신이 누리고 있는 편리함과 부(富)에 대해서도 관찰해야 한다. 현대사회의 자본에 의해서 창출되는 모든 생활의 이기와 편리함은 자연을 파괴하고 죽이는 데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E) 더 많은 나의 이득을 위하여 더 많은 나의 편리함을 위하여 자연을 파괴하고 낭비하는 것은 고정된 나가 있고 개아(個我)로서 존재함이 그 원인이므로 존재하는 나로 느껴지고 인식되는 것은 모두 내려놓아야한다. F) 분노의 마음을 제거해야 한다. 2) 실천적 방법 A) 살생을 반복하다 보면 인정이 없어지고 감정이 굳고 정서가 메마르게 되며, 세상과의 교류를 등지게 되고 마음은 얼음과 같이 차갑고 쇠덩이처럼 굳게 되기 때문에, 이런 마음을 정화하려고 하면 먼저 생명을 살리는 일을 실천해야 한다. 밭에다 물을 주고 식물을 키우며, 동물을 키우고, 방생을 하며, 죽어가는 사람들과 자연에게 나의 일부를 주고 그들과 교류해야 한다. 살아 있는 자연을 자주 접하고 일부러라도 먹이와 정성을 베풀어야 한다. B) 유정 전반에 대하여 죽어가고 묶여 있으며 버려진 것에 관심을 가지려고 노력해야 한다. C) 따뜻함을 많이 접하려고 노력하며 대상을 알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D) 살생은 자비의 마음을 끊기 때문에 자비의 마음을 키움으로써 살생의 업을 정화할 수 있다. 자(慈)의 마음은 나의 물질과 육체의 마음을 비우고 타인과 자연에게 사랑을 주는 것이며, 비(悲)의 마음은 타인과 자연의 고통을 내가 대신 받고 그들의 고통을 가져오는 것이다. *불투도 1. 불투도의 범위 불투도는 남의 물질과 정신을 훔치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내 것에 대해서는 인색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남의 물질이란 타인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 돈, 재산 등을 의미하고, 남의 정신이란 지적 재산권을 포함한 타인의 애정과 관심 등을 의미한다. 또한 내 것에 인색함이란 내 소유라고 하는 것에 대해서 남에게 베풀지 않고 자기 것이라고 고집하고 남의 불행과 이타의 상황에서 전혀 돌아보지 않고 내 것만을 챙기고 타인과 자연의 불행과 가난을 외면하고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2. 불투도를 지키기 위한 방법 1) 명상적 방법 A) 과거의 경험과 기억 속에서 남의 것을 실제로 탐내고 가져오고 도둑질 했던 사실들을 찾아내서 없앤다. B) 항상 내가 부러워하고 있는 물질이 무엇이며, 왜 그러한 물질을 부러워하는지 그 원인을 관찰한다. 비교하여 부러워하는 대상은 쌓이다 보면 반드시 투도의 형태로 나타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C) 갖고 싶고 원하고 반드시 성취하고 싶은 것들을 물질적인 것과 정신적인 것을 나누어서 관찰한다. 물질적인 것은 먼저 의식주와 성적 욕망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정신적인 것은 명예와 지식과 취미 등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D) 투도는 내 것으로 하고 싶은 마음이 큰 것이므로 욕심의 마음과 직결된다. 그러므로 내가 탐내는 것이 무엇인지 관찰해야 한다. 나의 욕심의 핵심을 관찰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욕심의 형태가 의식주에 해당하는 것인지 정신적인 것인지에 대해서도 관찰해야 한다. E) 투도는 다른 형태는 인색이므로 인색했던 나의 과거의 경험과 기억들을 부정관으로 없애고 평소에 내가 아끼고 절약하고 소중히 여기는 것들에 대하여 관찰하고, 타인과 자연에게 보시하고 베풀지 않는 자신의 습성에 대하여 관찰한다. 2) 실천적 방법 1) 내가 아끼고 절약하고 소중히 여기는 것을 남에게 주는 연습을 한다. 2) 주고 나서 애석해 하고 아쉬워하고 후회하는 마음과 감정들을 털어낸다. 3) 내 것을 목적 없는 것에 주는 것을 연습한다. 4) 물질과 돈을 아끼는 사람은 물질과 돈을 내가 좋아하는 사람과 내가 싫어하는 사람과 관계없는 사람에게 주는 연습을 하며, 정신과 명예와 자존심을 소중이 여기는 사람은 마음과 정성과 사랑과 정을 내가 좋아하는 사람과 내가 싫어하는 사람과 나와 관계없는 사람에게 주는 연습을 한다. 5) 남의 고통과 가난을 알려고 노력하고 느끼려고 노력한다. 6) 베품의 범위를 가족, 이웃, 친구에서 사회, 국가로 넓히고, 기세간에 펼쳐지는 모든 자연과 환경으로 넓힌다. 7) 생활 속에서 버리는 것을 실천한다. 예를 들면 먹는 것, 입는 것, 돈, 물건들을 의미한다. *불사음 1. 불사음의 범위 불사음은 성적 행위를 부부관계로 국한하는 것이지만, 많은 사음과 사음에 대한 기억과 사음하고 싶은 욕망은 지혜를 끊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성적 욕구의 전반을 의미한다. 또한 사음은 내적 욕심의 대표적인 형태이므로 오관의 욕심이 많고 오관에 채워지지 않을 때 음성적으로 생긴 내적 물욕에 해당하므로 내적 물욕의 형태를 관심있게 살펴보아야 한다. 또한 사음의 원인은 무관심과 외면과 무지와 관계가 깊기 때문에 이들도 함께 내면에서 관찰하고 현실에서 나타나는 것들에 대해서도 살펴보아야 한다. 2. 불사음을 지키기 위한 명상적 방법 1) 명상적 방법 A) 내가 갖고 싶고 원하는 물질적 욕구와 과거의 경험과 기억들을 부정관으로 끊어낸다. B) 사랑하는 대상에 대한 성적 욕구들이 일어나는 자리를 계속 관찰한다. C) 성적 욕구가 자주 생기는 몸의 부분을 계속 부정관 한다. D) 성적 욕구의 대상이 무엇인지 그 원인을 파악한다 E) 감각적인 것에 대한 욕구와 외로움을 관찰한다. 2) 실천적 방법 A) 성적 욕구는 힘과 생명의 집착과 관련이 많고 감각적인 욕망과 관계가 많기 때문에, 힘은 운동으로 풀고, 생명에 대한 집착은 생활 속 좌도와 노동으로 풀며, 감각적 욕망은 지루함의 연습으로 푼다. B) 성적 욕구는 축생업과 관련이 많으므로 축생에서 나타나는 본능적 모습을 사유로서 극복하려고 노력한다. C) 성적 욕구는 무지의 근본을 쌓기 때문에 나의 외면과 좌절과 무관심을 살펴보고 하기 싫어하는 일을 자주 해보고 연습한다. *불망어 1. 불망어의 범위 망어는 헛된 말을 하는 것으로서, 거짓말, 이간질하는 말, 아첨하는 말, 욕하는 말이다. 2. 불망어를 지키기 위한 방법 1) 명상적 방법 A) 과거의 기억 속에서 거짓말, 이간질 한 말, 아첨했던 말, 교언영색했던 말, 쓸데없는 말, 아부하는 말, 꾸미는 말, 진실하지 않은 말, 화나서 욕하는 말들을 찾아내서 부정관으로 없앤다. B) 망어는 기본적으로 아만업과 관련이 많기 때문에 나의 교만, 거만, 지나친 자존심, 가치관 등을 자신의 내부에서 살펴보아야 하고, 상하좌우의 기준과 틀을 살펴보아야 한다. C) 망어는 아만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나를 내세우기 위하여 이기려고 노력하고, 나를 포장하고 겉으로 장식하기를 좋아한다. 그러므로 겉치레하는 다양한 모습들을 관찰해야 한다. D) 배꼽 위의 상단전과 머리를 많이 관찰한다. 특히 어깨와 목의 부담을 많이 관찰한다. 2) 실천적 방법 A) 겸손하는 방법을 실천해야 한다. 즉 인사하고 아는 척을 먼저하고, 절하고, 양보하고, 외모를 꾸미지 않으며, 신분과 환경이 나보다 좋지 않은 곳을 자주 방문하고 여행하며 그들의 모습을 보려고 노력해야 한다. B) 나보다 환경이 뛰어나고 학덕과 부가 높은 사람과 만나는 기회를 자주 가지며, 비교하는 마음을 관찰해야 한다. C) 환경이 좋고 부자인 부유한 사람들에게 보시를 많이 하고 넉넉한 마음을 가져야 한다. D) 말할 때, 경쟁할 때, 내세우려고 할 때, 주장할 때, 잘난 척 하려고 할 때, 지는 연습을 많이 해야 한다. E) 고아원이나 양로원 또는 사회봉사를 필요로 하는 곳에서 신체적으로 헌신한다. F) 더럽고 누추한 환경이 있는 곳에 자주 가고 생활한다. 냄새나고 허름하고 불쾌한 곳에 자주 방문한다. *불음주 1. 불음주의 범위 음주는 술마시는 것으로서, 술을 마시면 긴장했던 몸과 마음이 풀어져서 일상생활에서는 어느 정도 필요하지만, 지나친 음주는 정신을 혼란케 만들고 산란하게 만들며 방탕하게 만들고, 방일하게 만들며, 변덕스럽게 만든다. 그래서 지나치게 긴장하거나 고집이 세거나 육체의 피로가 많을 경우, 내성적인 경우에는 어느 정도 음주가 필요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술마시는 것을 금지한다. 2. 불음주를 지키기 위한 방법 1) 명상적 방법 A) 과거의 기억과 경험 속에서 술을 먹었던 일들을 관찰하고 부정관으로 사라지게 한다. B) 술먹을 때의 기분과 현상들을 관찰한다. C) 술은 외로운 업, 일업과 많이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술먹을 때의 사람, 분위기, 술의 양, 이야기를 관찰한다. D) 내멋대로 하고 싶고, 일상에서 벗어나고 싶은 마음들을 관찰한다. E) 술은 사음과 망어와 관련이 깊기 때문에, 술먹은 상태에서 이러한 욕구들과의 관계에 대해서 관찰한다. F) 사람에 의존하는 마음을 관찰하고 없앤다. 2) 실천적 방법 A) 좌선을 많이 한다. B) 심심한 상태를 연습한다. C) 답답한 마음이 일어날 때, 술대신 할 수 있는 취미생활을 개발한다. D) 외로움을 극복할 수 있는 일을 만든다. E) 그냥 가만히 우두커니 할 일 없이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있는 연습을 많이 한다. 예를 들면 허공을 바라본다던지 바람소리를 듣던지 남의 소리를 듣는 것이다.
|